본문 바로가기
창고관리시스템(WMS)

물류 용어 - 1PL, 2PL, 3PL, 4PL

by 옆선달리기 2024. 2. 19.

물류 업무 혹은 물류 관리 시스템 관련 업무를 하다 보면 3PL, 4PL 같은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헷갈리게 하는 물류 용어 중 1PL ~ 4PL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물류 관리는 제품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동하는 전체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서비스 수준의 물류 서비스 공급자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들의 서비스 수준을 1PL에서 4PL까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1PL (First-Party Logistics)

정의: 1PL은 기본적으로 제품의 생산자나 소비자 자신이 직접 물류 활동을 관리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제품의 저장, 운송, 관리 등이 포함되며, 주로 내부 자원을 사용하여 운영됩니다.

사례: 소규모 제조업체가 자신의 제품을 직접 소매점에 배송하는 경우, 또는 소매업체가 자체 차량을 이용해 매장에 상품을 배송하는 경우입니다.

1PL 예시

2PL (Second-Party Logistics)

정의: 2PL은 주로 운송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업체입니다. 항공, 해상, 철도, 도로 운송 등 특정 분야의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물류 운영을 대신해 운송 과정을 처리합니다. 대규모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제품을 전담 운송하는 자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경우도 2PL운영 방식입니다.

사례: 대형 화물 운송 회사, 해운 회사, 항공 화물 회사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2PL 예시

3PL (Third-Party Logistics)

정의: 3PL은 운송, 창고관리, 포장, 재고관리 등 물류 서비스의 전반적인 관리를 제공하는 업체입니다. 이들은 고객사의 물류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물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례: FedEx, UPS, DHL 등이 대표적인 3PL 업체입니다. 이 업체들은 택배 업체로 여겨지지만 실제로 그들의 업무는 물류 전반을 대행하고 있습니다.

 

3PL 예시

 

4PL (Fourth-Party Logistics)

정의: 4PL은 3PL보다 더 확장된 개념으로, 물류 전략의 설계와 실행, 물류 프로세스의 최적화, 공급망 관리 등을 총합적으로 포함합니다. 4PL 제공자는 고객사의 전체 공급망을 대신하여 관리하며, 여러 3PL 업체들과 협력하여 통합 물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사례: Accenture, Deloitte 등의 경영 컨설팅 업체가 4PL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4PL 예시

 

 

이번 글에서는 물류 용어 중, 1PL, 2PL, 3PL, 4PL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 남겨 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