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8 - [창고관리시스템(WMS)] - 창고관리시스템(WMS)의 재고 관리 기술: FIFO, LIFO 및 JIT
창고관리시스템(WMS)의 재고 관리 기술: FIFO, LIFO 및 JIT
2023.04.27 - [분류 전체보기] - 최적의 효율성을 위한 창고 레이아웃 및 조직 전략 최적의 효율성을 위한 창고 레이아웃 및 조직 전략 2023.04.25 - [분류 전체보기] -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바코드 및
sideline-run.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창고관리에서 재고관리 기술의 하나인 FIFO 즉, 선입선출에 좀 더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FIFO(First-In-First-Out)는 재고 및 창고 관리에 사용되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기본적으로 인벤토리에 가장 오래 있었던 아이템이 최근에 추가된 아이템보다 먼저 판매되거나 사용되도록 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FIFO의 개념과 창고 관리에서 FIFO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FIFO의 개념과 적용
선입선출(FIFO)은 단순한 창고관리시스템(WMS) 기능이 아니라, 창고 운영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주는 재고 관리의 기본 개념입니다. FIFO는 먼저 받은 상품이 먼저 판매되거나 사용되어야 하는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상품의 품질을 보장합니다. 특히, 식품이나 유통 기한이 있는 상품과 같이 부패하기 쉬운 상품의 경우 낭비 가능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재고 관리 접근 방식입니다.
FIFO의 실용적인 예로 식료품점을 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우유 배달이 들어올 때 작업자들은 이전 우유 앞에 새 우유를 놓지 않습니다. 대신, 고객이 오래된 우유를 먼저 집어 들고 구매할 수 있도록 기존 재고 뒤에 놓습니다. 동일한 원칙이 훨씬 더 큰 규모의 창고에도 적용되는 것입니다.
FIFO의 이점
FIFO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노후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에 특히 중요하고, 전자제품이나 패션 아이템과 같이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점차 쓸모없게 될 수 있는 아이템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수령한 순서대로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유통기한이 만료되었거나, 오래된 상품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점은 FIFO가 보다 정확한 재무 보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회사에서 COGS(매출원가)를 계산할 때 최신 재고 비용이 아닌 가장 오래된 재고 비용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비용이 상승할 때, 회사의 이익을 낮추고 잠재적으로 소득세를 낮출 수 있습니다.
FIFO는 효율적인 창고 운영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낡은 물건을 계속 치우면 자연스럽게 새 물건을 위한 공간이 생겨 공간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관리하면 상품을 재배치하거나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FIFO 구현
WMS에서는 FIFO 규칙을 구현하여 피킹 프로세스 진행 중에 재고 할당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피킹 리스트가 생성될 때, 시스템은 가장 오래된 재고를 주문 처리에 먼저 할당합니다. 이를 통해 수동으로 확인하거나 및 선택하는 행위 없이 FIFO 규칙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의 노트북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에서 이 노트북의 배송 시간이 서로 다르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WMS는 창고에 가장 오래 보관된 노트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주문에 할당합니다. WMS는 창고 작업자를 위한 선택 목록을 생성하여 가장 오래된 노트북 위치로 안내합니다. 물론, 동일한 스펙의 노트북 주문이라는 가정 하에서 입니다.
FIFO의 한계
FIFO에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모든 상황에 적합하지는 않습니다. 일부 아이템에는 FIFO와 일치하지 않는 특정 요구 사항이 있거나 경우에 따라 다른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FO(Last-In-First-Out) 전략에서는 가장 최근에 추가된 품목이 먼저 판매되는데, 이는 부패하지 않는 특정 유형의 상품이나 큰 변화가 없는 안정적인 상품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FIFO를 구현하려면 부지런히 재고를 기록해야 하며 재고를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해 정교한 WMS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FIFO는 대량의 SKU(Stock Keeping Unit)나 만료 날짜가 유사한 항목을 처리할 때도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창고의 물리적 레이아웃도 FIFO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deep-lane storage 레이아웃은 최근에 추가된 재고를 이동하지 않고 오래된 항목을 꺼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계획 및 구현을 통해 FIFO 방법은 재고 관리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창고 운영을 최적화하고 제품의 신선도 등을 보장하며 정확한 재무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FIFO는 회계 및 물류를 포함하여 비즈니스의 다른 여러 영역으로 이어지는 창고 관리에서 널리 사용되는 원칙입니다. 일부 제한이 있고 모든 창고나 재고 유형에 적합한 선택이 아닐 수 있지만, 올바르게 사용하면 FIFO는 창고 운영을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낭비를 줄이고 상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창고에 FIFO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품목 보관 방법을 물리적으로 재배치할 뿐만 아니라 FIFO 원칙을 WMS 또는 기타 재고 추적 시스템에 통합해야 합니다. FIFO를 완전히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창고는 재고를 더욱 잘 관리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더 많은 수익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 남겨 주세요.***
'창고관리시스템(W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고관리시스템(WMS)과 바코드 관리 (0) | 2023.06.09 |
---|---|
창고관리시스템(WMS) 구현: 계획 및 실행 (0) | 2023.06.08 |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DC와 TC의 기능 비교 (0) | 2023.05.30 |
창고 재고 회전율 예시 (0) | 2023.05.26 |
창고관리 DC vs. TC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