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6 - [창고관리시스템(WMS)] - 창고 재고 회전율
창고 재고 회전율
2023.05.03 - [창고관리시스템(WMS)] - 창고 성능 지표 및 핵심 성과 지표(KPI) 창고 성능 지표 및 핵심 성과 지표(KPI) 2023.05.02 - [분류 전체보기] - 창고 운영 간소화를 위한 피킹 및 포장 방법 창고 운영
sideline-run.tistory.com
이전에 작성한 창고 재고 회전율에 대한 포스팅 조회 수가 많아서, 재고 회전율에 대한 예시를 들어 조금 더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재고회전율은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재고를 관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회사가 재고를 판매하고 교체한 횟수를 계산합니다.
재고 회전율 공식:
재고 회전율 = 매출원가(COGS) / 평균재고
각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원가(COGS): 특정 기간 동안 회사에서 판매한 모든 상품의 총 비용입니다. 여기에는 판매된 제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재 및 노동 비용이 포함되지만 유통 비용 및 영업 인력 비용과 같은 간접 비용은 제외됩니다.
(일반적으로 매출액 보다는 매출원가를 기준으로 많이 합니다) *COGS: Cost Of Goods Sold
평균재고: 조사 중인 기간 동안 재고의 평균값입니다. 일반적으로 기간 시작 시점의 재고를 기간 종료 시점의 재고에 더하고 2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평균 재고는 매월말 재고를 더해서 12로 나누기도 하고, 매일말 재고를 더해서 365로 나누기도 합니다)
예:
재고 회전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예제를 만들어 봅시다. "재고코퍼레이션"이라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기간 | 기초재고 | 기말재고 | 매출원가 |
2023년 1분기 | 100,000,000 | 150,000,000 | 450,000,000 |
2023년 2분기 | 150,000,000 | 130,000,000 | 500,000,000 |
2023년 3분기 | 130,000,000 | 90,000,000 | 550,000,000 |
2023년 4분기 | 90,000,000 | 120,000,000 | 600,000,000 |
각 분기별의 재고 회전율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2022년 1분기: 재고 회전율 = 450,000,000 / ((100,000,000 + 150,000,000)/2) = 3.6
2022년 2분기: 재고 회전율 = 500,000,000 / ((150,000,000 + 130,000,000)/2) = 3.57
2022년 3분기: 재고 회전율 = 550,000,000 / ((130,000,000 + 90,000,000)/2) = 5.24
2022년 4분기: 재고 회전율 = 600,000,000 / ((90,000,000 + 120,000,000)/2) = 5.45
이러한 결과는 "재고코퍼레이션"의 재고회전율이 1분기에 약 3.6회, 2분기에 3.57회, 3분기에 5.24회, 4분기에 5.45회 회전했음을 의미합니다.
재고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회사가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품을 신속하게 판매하며 과잉 재고를 보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매우 높은 회전율은 회사의 재고가 너무 적고 판매 기회를 놓칠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산업과 회사에 적합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 남겨 주세요.***
'창고관리시스템(W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고관리 선입선출 FIFO(First-In-First-Out) (0) | 2023.06.07 |
---|---|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DC와 TC의 기능 비교 (0) | 2023.05.30 |
창고관리 DC vs. TC (0) | 2023.05.23 |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창고 관리 (0) | 2023.05.22 |
창고 재고 회전율 (0) | 2023.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