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0 - [창고관리시스템(WMS)] -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DC와 TC의 기능 비교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DC와 TC의 기능 비교
2023.05.23 - [창고관리시스템(WMS)] - 창고관리 DC vs. TC 창고관리 DC vs. TC 창고 관리에서 DC와 TC의 구별 창고 관리에서는 상품을 보관, 구성 및 유통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시설을 이해하는
sideline-run.tistory.com
창고 관리에서 DC와 TC의 구별
창고 관리에서는 상품을 보관, 구성 및 유통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시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시설은 보관형 물류 센터(DC)와 통과형 물류 센터(TC)입니다.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공급망에서 역할, 운영 및 중요성은 각각 다릅니다.
보관형 물류 센터(DC) 이해
DC는 Distribution Center의 약자로, 보관형 물류 센터 혹은 재고형 물류센터라고 합니다.
보관형 물류 센터는 나중에 소매업체, 도매업체 또는 소비자에게 직접 유통되는 제품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대규모 시설입니다. 본질적으로 DC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스토리지 및 배포 허브 역할을 합니다.
DC에는 일반적으로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창고관리시스템(WMS)이 장착되어 제품 위치, 수량 및 이동을 추적합니다. 이러한 센터에서는 수동, 반자동 및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하여 다양한 보관 및 피킹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보관형 물류 센터의 주요 특징
1. 보관 및 재고 관리: DC는 종종 오랜 기간 동안 제품을 보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고 관리, 제품 수량 추적, 피킹 및 포장 프로세스 수행에 맞춰져 있습니다.
2. 다양한 제품: DC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의 다양한 고객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을 보관합니다.
3. 부가 가치 서비스: DC는 보관 외에도 종종 포장, 라벨링, 때로는 가벼운 조립까지 포함하는 부가 가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과형 물류 센터(TC) 이해
TC는 Transfer Center의 약자입니다. 종종 Transit Center라고 표현하는 곳도 있습니다. 통과형 물류 센터라고 부릅니다.
크로스도킹 센터라고도 하는 통과형 물류 센터는 다양한 공급업체로부터 상품을 수령하고 일정 기간 보관 없이 신속하게 배송되는 물류 시설입니다. TC의 주요 목적은 상품 운송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상품 수령과 다음 목적지로 배송 사이의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통과형 물류 센터의 주요 특징
1. 최소 스토리지: DC와 달리 TC는 일반적으로 장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제품은 몇 시간 만에 들어오고 나가므로 큰 저장 공간과 재고 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습니다.
2. 속도 및 효율성: TC의 주요 목표는 공급업체에서 고객에게 상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운송하는 것입니다.
3. 간소화된 작업: TC의 작업은 일반적으로 DC보다 더 간단합니다. 복잡한 보관 및 재고 관리가 아닌 상품 수령, 분류 및 배송에 중점을 둡니다.
DC와 TC 비교
DC와 TC 모두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능과 운영은 상당히 다릅니다.
1. 재고 관리: DC는 오랜 기간 동안 재고를 보관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TC는 많은 양의 보관 없이 상품을 빠르게 이동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작업: DC는 입고, 보관, 피킹, 포장 및 배송을 포함한 광범위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반대로 TC는 최소한의 작업으로 입고 및 배송을 처리합니다.
3. 시설 설계: DC는 일반적으로 보관, 피킹, 포장 및 배송을 위해 할당된 공간으로 인해 더 복잡하게 설계됩니다. 반면에 TC는 대부분의 공간이 하역장 전용으로 되어 있어 보다 간소화되어 있습니다.
4. 기술: DC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창고관리시스템(WMS)을 사용하여 재고 및 운영을 관리합니다. 반대로 TC는 단순화된 작업으로 인해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TC에서도 DC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곳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창고관리시스템의 활용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보관형 물류 센터와 통과형 물류 센터는 공급망 내에서 고유한 역할과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인식하면 기업이 물류 전략을 계획하고 구현할 때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앞에서 언급하였 듯이 최근에는 DC와 TC를 혼합하여 운영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음도 기억해야 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 남겨 주세요.***
'창고관리시스템(W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고관리시스템(WMS)에서 DC와 TC의 기능 비교 (0) | 2023.05.30 |
---|---|
창고 재고 회전율 예시 (0) | 2023.05.26 |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창고 관리 (0) | 2023.05.22 |
창고 재고 회전율 (0) | 2023.05.16 |
다양한 창고 레이아웃 (0) | 2023.05.10 |
댓글